서브페이지 컨텐츠 ※ 노인일자리사업 및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주요 연구자료을(를) 게시하는 페이지입니다. 연구자료 포럼 · 세미나 목록 연구자료 상세보기 표 - 제목, 등록일, 조회수, 작성자, 담당부서, 첨부로 구성 번호 제목 첨부 연구책임자 작성일 조회수 4 통계로 알아보는 '일하는 노인'. [우리나라 노인, 경제활동 중?] 하고있다(취업중) 34%, 현재일하고있지 않다(비취업) 66% / [취업 노인이 가장 많이 종사하고 있는 직업은?] 농어축산업 종사자 52.9%, 단순노무종사자 26.1%, 서비스/판매 종사자 11.7%, 기능원,관련기능 종사자 3.2%, 기계,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28%, 고위임직원,관리자 1.0%, 전문가 2.0%, 사무종사자 0.3%, 기술공,준전문가0.0% / [현재 일자리! 얼마나 만족하고 계신가요?] 매우만족 9.4%, 만족하는 편 42.3%, 그저 그렇다 27.4%, 만족하지 않는편 17.7%, 전혀 만족하지 않음 3.1% / [취업노인의 경제활동 꼐속 하고 싶은가요?] 계속 일할 생각임 88.5%, 다른 일로 바꾸고 싶음 1.9%, 오나전히 그만두고 싶음 9.6% (<노인실태조사>보건복지부,2011년) 관리자 2013.08.02 449 3 노인일자리 사업의 경제적 효과. 노인의 경제활동은 경제적 복지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노인일자리사업은 1일 3-4시간, 주 3-4일의 근무형태를 통해 월 평균 20만원 내외 수준의 소득확보를 가능하게 하여, 노후생활에 필요한 보충적 소득의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준다. 따라서 노인은 본인이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곧 빈곤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에 영향을 주는 경제적 효과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자~ 한국의 노인 빈곤률(전체 노인 중 중위 소득 미만에 속하는 노인의 비율)은 45.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 34개국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 45.10%, 미국 23.72%, 멕시코 22.72%, 일본 20.55%, 이탈리아 13.20%, 영국 10.43%, 프랑스 9.20%, 독일 8.28%, 스웨덴 6.08%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노인 빈곤율(단위 %, 자료: OECD,2010년 기준)) /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동기 1순위! 생계비 마련(47.6%)] 생계비마련 47.6%(476명), 용돈마련 31.6%(316명), 여가활동 7.4%(74명), 건강증진 유지 6.1%(61명), 사회참여 4.9%(49명), 자아실현 자기발전 1.7%(17명), 소외감해소 0.6%(6명), 봉사 0.1%(1명) / [2010년과 2011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소득차이로 보는 경제적 효과] 비참여자 7.6만원 증가, 참여자 19만원 증가 (약 2.5배 증가) / [사업참여 노인의 참여전후 가구빈곤율 변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후 전체 가구빈곤율 14.7% 감소(71.1% 에서 56.4%로 감소) 독거노인 참여 전 80% 참여 후 64.6%, 노인부부 참여 전 86.9% 참여 후 65.3%, 부부+자녀 참여 전 34% 참여 후 34% 관리자 2012.10.30 560 2 노인일자리 사업 성과. [2004년 사업 시작 이후 큰 폭의 양적 성장을 경험] 2004년 창출목표 2만5000 창출실적 3만5127, 2005년 창출목표 3만5000 창출실적 4만7309, 2006년 창출목표 8만 창출실적 8만3038, 2007년 창출목표 11만 창출실적 11만5646, 2008년 창출목표 11만7000 창출실적 12만6370, 2009년 창출목표 19만6000 창출실적 22만2616, 2010년 창출목표 18만6000 창출실적 21만6441, 2011년 창출목표 19만6999 창출실적 22만346(2004년 3만5127개 에서 2011년 22만346개로 6.2배 성장함) (자료: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노인일자리사업 정보시스템 Database,2011.) /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 후 변화]자아효능감이 높아졌다 54.86%, 우울감이 낮아졌다 53.43%, 삶의 만족도가 높아졌다 59.14%, 삶의 질이 좋아졌다 55.42% /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 동기] *참여노인의 대부분이 경제적 도움(84.9%)을 위해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다고 응답. * 한편, 교육형의 경우 타유형에 비해 ' 경제적 도움' 비중이 낮고(43.5%), '사회참여'(24.2%) 및 '자기발전'(19.2%)을 위해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다는 비중이 높은 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동기<전체> 경제적도움 84.9%.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동기<교육형> 경제적 도움 43.5%, 자기발전 19.2%, 사회 참여 24.2% (자료 :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노인일자리사업 정보시스템 Database,2011.) 관리자 2012.10.04 525 1 노인일자리사업의 사회관계 효과. 사회관계란 자신이 누군가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것은 개인의 심리적, 신체적 안녕을 충족시켜주고 더 나아가 사회통합의 기반을 강화시켜준다. 특히, 노년기의 사회관계는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그렇다면 노인일자리 사업은 노인들의 사회관계 측면에서 어떤 효과를 가지고 있을까? *조사대상자 : 2011년 노인일자리사업 신규참여자 700명, 참여대기자 300명(총 1000명) *조사기간 : 2011.09.19~10.14 *설문조사 :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비참여자,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참여 전후 변화, 조건별 평균차이 비교 / 가족관계 만족도(만족도 5점 기준) 비참여노인 3.85 참여노인 3.92, 친구,이웃관계 만족도(만족도 5점 기준) 비참여노인 3.88 참여노인 3.99 / [노인일자리사업 전후 돌봄지원 및 정서적 지원에 대한 변화] 돌봄지원 33%감소 정서적지원 16%증가 / [사회단체 활동 정도] 노인일자리 비참여노인(연평균) 23.3일, 노인일자리 참여노인(연평균)29.4일 / (자료 : 노인일자리 사업 정책효과 평가.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1)) 관리자 2012.10.04 529 1 2 3 4 5 6 7 전체 게시물 64건 검색조건 제목 연구책임자 내용 검색어입력 공시담당자 안내표로 구분, 담당부서, 담당자, 이메일, 연락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분 담당부서 담당자 이메일 연락처 공시 담당자 연구조사부 홍민지 mjh@kordi.or.kr 02-6731-6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