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페이지 컨텐츠
※ 노인일자리사업 및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주요 영상물을(를) 게시하는 페이지입니다.2020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정책 방향 소개 | |||
---|---|---|---|
등록일 | 2020.04.16 | 수정일 | 2021.08.11 |
담당부서 | 홍보부 | 연락처 | |
작성자 | 윤나연 | 조회수 | 17597 |
2020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정책방향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어르신들의 활기차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위한 대한민국 만 60세 이상 어르신들에게 다양한 일자리 및 사회활동을 지원하며, 노인복지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우리 사회에 여러가지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습니다.
월평균 가구소득 증가에 기여
의료비 절감 효과
사회관계 회복, 긍정적 심리변화
앞으로 더 기대되는 노인일자리 사업 2020년은 어떻게 달라질까요?
사업량 확대를 통한 노인일자리 및 사회참여 기회 확대
2019년 64만개 -> 2020년 74만개
약 10만개 이상의 사업량을 늘려 더 많은 어르신들에게 노인일자리 및 사회참여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사회참여 기회 확대
2019년 재능나눔활동: 만 65세 이상 / 사회서비스형 기초연금수급자 -> 2020년 재능나눔활동 / 사회서비스형 만 60세 이상
더 많은 사회참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일부 사업 참여 연령을 확대 조정합니다.
공익활동 사업기간 연장
2019년 : 9개월 / 12개월 -> 2020년: 평균 11개월(10~12개월)
사업 참여의 지속성을 높이고, 소득 공백 기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참여 기간을 연장합니다.
노인일자리 활동 프로그램 내실화 추진
활동 수요 및 사회적 기여도가 높은 사업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차별화된 신규 일자리를 적극 추진할 것입니다.
보건복지부-지역본부-지자체 | 공익활동 | 시/도 협의체 정례적 운영
2019년 2만개 -> 2020년 3.7만개 | 사회서비스형 | 공익활동과 차별화된 신규 일자리 확대 및 아이템 추진
노인일자리 전담 인프라 강화
2019년: 150명당 1명 ? 공익활동, 시장형 사업단, 사회서비스형 | 100명당 1명 ? 인력파견형
2020년: 150명당 1명 ? 공익활동 | 130명당 1명 시장형 사업단, 사회서비스형 | 100명 1명 ? 취업알선형
전담인력 배치기준 완화, 임금인상 등 현장 사업관리 인력의 처우개선을 위해 노력할
|
- 이전글 노인일자리 Song
- 다음글 2019년 노인일자리사업 캠페인 영상